UV-Vis spectrophotometer를 측정하게 되면 background로 측정하게 되는 시료(용매)보다 sample의 농도가 진하기 때문에 보통은 양의 흡광도를 갖는 spectrum을 얻기 마련이다.
정말 단순화해서 예를 들어보면, background 시료의 흡광도가 0.1이 나오고 sample+background의 흡광도가 1.7가 나온다면 결과적으로 sample 시료만의 흡광도는 1.6이 되기 때문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spectrum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끔 UV-Vis spectrophotometer를 측정하다 보면 음의 흡광도를 갖는 결과를 얻게 될 때가 있다. 말 그대로 위의 그림에 나타난 spectrum이 거꾸로 나오는 것이다(극단적으로 그리기는 했지만 이런 식으로 음의 흡광도가 나오게 된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일까?
그것은 바로 background의 흡광도가 sample의 흡광도보다 진하기 때문이다.
또 단순하게 예를 들어보면, background 시료의 흡광도가 0.1이고 sample+background 흡광도가 0.04가 나온다면 결과적으로 sample의 흡광도는 0.04 - 0.1 = -0.06이 되는 것이다.
여러 가지 실험 조건과 결과에 따라서, 또는 실험 도중 실수를 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서 가끔씩 background보다 낮은 흡광도를 갖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uvette에 흠집이나 오염이 있어서 시료가 흡수해야 할 UV-Vis 광원을 cuvette의 흠집이나 오염이 흡수한 것일 수도 있고, sampling의 방법이 일관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background로 사용된 시료의 농도가 변한 것 일수도 있는 등, 이와 같은 요인들이 UV-Vis 흡광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먼저 파악해주는 것이 문제의 요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공부 > 분광학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18 카트리지(C-18 cartridge) 컨디셔닝 conditioning (0) | 2024.11.13 |
---|---|
UV-Vis 분광광도계 큐벳의 세척 (0) | 2021.02.08 |
UV-Vis 분광 광도계 사용법 (0) | 2021.01.10 |
기기분석에서의 플로터/plotter (0) | 2020.12.25 |
기기 분석법 종류 (0) | 2020.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