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기사시험/화학분석기사 기출30

79.59 g Fe와 30.40 g O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의 실험식 ♣79.59 g Fe와 30.40 g O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 시료의 실험식은? (단, Fe의 원자량은 55.85 g/mol이다.) ♧풀이79.59 g Fe / 55.85 g/mol = 1.425 mol Fe ~ 1.5 mol Fe30.40 g O / 16.00 g/mol = 1.9 mol O ~ 2 mol O(O의 원자량 16.00 g/mol  위와 같이 문제에서 주어진 원소들의 질량에 각각의 원자량을 나누어주면Fe는 1.5 mol만큼 있고, O는 2 mol만큰 존재하고 있게 된다.실험식에서는 정수를 이용해서 표현하기 때문에 Fe의 양이 정수가 되는 수인 2를 각각 곱해주게 된다. 따라서 Fe는 3 mol, O는 4 mol이 되므로 실험식은 Fe3O4가 되는 것이다. 출처) 화학분석기사 기출 2024. 12. 7.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① 역상 (reversed phase) 크로마토그래피는 이동상이 극성이고 정지상이 비극성이다.② 정상 (normal phase)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이동상의 극성을 증가시키면 용리시간이 길어진다.③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는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을 상대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한다.④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는 비휘발성 또는 열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의 분석에 유용하다. ♧답 ②번정상 크로마토그래피의 이동성의 극성을 증가시키면 용리시간은 짧아진다.정지상이 극성이기 때문이다. 출처) 화학분석기사 기출 2024. 11. 16.
15 wt% KOH 수용액 250 g 희석하여 0.1 M 수용액 만든 후 용액의 부피 ♠ 15 wt% KOH 수용액 250 g을 희석하여 0.1 M 수용액을 만들고자 할 때, 희석 후 용액의 부피(L)는?(단, KOH의 분자량은 56 g/mol 이다) ♤풀이 wt% = (용질의 질량 / 용액의 질량) x 100% 이므로15 wt% KOH는 15 g의 KOH가 100 g의 물에 녹아있음을 뜻한다. wt% 농도를 먼저 M 농도로 바꾸어주기 위해서 15 g KOH의 몰수를 구한다.KOH의 분자량은 문제에서 주었으므로, 15 g KOH / 56 g/mol = 0.27 mol 0.27 mol의 KOH가 100 g의 물에 녹아있는 것이고, 물의 밀도는 1 g/mL이므로0.27 mol의 KOH가 100 mL = 0.1 L의 물에 녹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0.27 mol / 0.1 L = 2.7 M .. 2024. 11. 15.
저울에서 가장 필요 없는 장치 ♠ 전자식 분석용 저울에서 가장 필요 없는 장치는? ① 코일②영점 검출기③ 전류 증폭장치④ 저울대 고정장치 ♤ 답은 4번 저울대 고정장치 저울대 고정장치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다.정말 엄청나게 정밀한 무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사용하기도 한다. 전류 증폭장치는 무게 변화로 인한 미세한 전류를 증폭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참고 : 화학분석기사 기출 2024. 11. 14.
2.9 g butane 완전연소 반응, CO2의 부피 ♠ 문제♠2.9 g의 butane의 완전 연소 반응으로 생성되는 CO2의 부피 (L @ STP)는? ♤ 풀이♤- STP 상태 : 1 atm, 0도씨- butane -> C4H10 (58 g/mol)- 완전 연소 반응식 -> 2C4H10 + 3H2O -> 8CO2 + 10H2O pV = nRT -> V = (nRT)/p 이고butane의 몰 -> 2.9 g / 58 g/mol 인데 1 : 4 반응이므로 여기에 4를 곱함. 따라서, {(2.9 g / 58 g/mol x 4) x 0.0821 atm ·L/K ·mol} / 1 atm = 4.48 L (출처)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 2024. 11. 3.
X의 수소 화합물 1 mol에 포함된 수소 원자의 질량 ♠문제♠ 기체 상태의 수소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 X의 수소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X의 수소 화합물 1 mol에 포함된 수소 원자의 질량(g)은?- 밀도 : 2 g/L ...표준상태- 화합물 중 X의 백분율 : 82 wt% ♤풀이♤표준 상태의 기체의 몰부피 22.414 L/mol이고,화합물 중 X의 백분율이 82 wt%이면 수소는 18 wt%이므로 1 mol x 22.414 L/mol x 2 g/L x (18g/100g) = 8.064 g 출처) 화학분석기사 2022년 4월 24일 필기 2024. 11. 1.
산성비와 가장 관계없는 반응 산성비는 대기중 오염물질이 비와 만나서 황산, 질산등의 농도가 높은 비를 말한다. 따라서, 아래의 반응식이 산성비와 가장 관계가 없는 반응식이다.아래 반응식은 탄산칼슘 앙금 생성반응의 이온반응식이다. 2024. 7. 11.
40.9% C, 4.6% H, 54.5% O의 질량백분율 조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실험식 100 g의 화합물에 각각 40.9 % C, 4.6 % H, 54.5 % O가 있다고 보면,100 g의 화합물에는 40.9 g C, 4.6 g H, 54.5 g O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각각의 원소의 몰질량은 C 12 g/mol, H 1 g/mol, O 16 g/mol이므로 40.9 g/(12g/mol) = 3.4 mol C4.6 g/(1 g/mol) = 4.6 mol H54.5 g/(16 g/mol) = 3.4 mol O  위와 같은 몰비로 100 g의 화합물에 각각의 원소가 들어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C : H : O = 3.4 : 4.6 : 3.4의 비율로 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며, 이 비율을 근사하면 C3H4O3이 실험식이 된다. 2024. 7. 10.
활동도 계수의 변화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 23. 활동도 계수의 변화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답: ④ 이온 전하가 증가할수록 활동도가 1에 근접한다. 활동도 계수는 a = γ[X] 에서 γ에 해당하며 단위는 없다. 활동도 계수는 이온 세기가 증가하면 이온의 거동에 제약이 생겨 감소하게 된다. 이때 이온 세기는 이온 전하에 비례하므로 이온 전하가 증가하게 되면 활동도는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온 전하가 증가할수록 활동도는 1에 근접하는 것이라는 말 자체가 틀린 것이 된다. 이온 전하가 증가할수록 활동도는 낮아진다라는 표현이 맞음. 활동도는 a이기 때문에. 이온 세기 μ = (1/2)(c1·Z1^2 + c2·Z2^2 + c3·Z3^2 + …) 에서 c1, c2 ···는 화학종 1, 2, ···의 농도이고, Z1, Z2,···는 각 화.. 2022. 10. 8.
3H2(g) + N2(g) ↔ 2NH3(g) 반응에서 압력을 증가시킬 때 평형의 이동으로 옳은 것 22. 3H2(g) + N2(g) ↔ 2NH3(g) 반응에서 압력을 증가시킬 때 평형의 이동으로 옳은 것은? 답: ② 평형이 오른쪽으로 이동 문제의 반응은 기체상의 반응으로 기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반응 용기의 부피를 줄이거나 반응물 또는 생성물 기체의 양을 증가시켜준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압력을 증가시킨다고 하지 않고 그냥 반응의 압력을 증가시킨다고 하였기 때문에 반응 용기의 부피가 줄어든다고 이해하는 것이 맞다. 반응 용기가 줄어서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반응물의 몰수가 생성물의 몰수보다 크기 때문에 반응물의 압력이 생성물의 압력보다 큰 상태가 된다. 즉, 기체 반응에서 압력은 그 기체의 양에 해당하므로 반응물의 양이 생성물의 양보다 많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2022. 10. 8.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