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공부44 뷰렛 눈금 읽는 방법 뷰렛은 다른 부피 측정 유리초자와는 다르게 눈금을 읽어야 한다. 메스실린더나 비커는 용액이 담겨있는 바닥을 기준으로 아래부터 눈금을 읽지만, 뷰렛은 용액을 채운 기준선으로부터 거꾸로 눈금을 읽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25 mL짜리 뷰렛에 25 mL까지 용액을 채운 뒤 다른 용기로 위 그림과 같은 곳까지 용액을 내렸다면,내가 옮긴 용액의 부피는 4 mL가 된다. 이렇게 부피를 읽어야 하는 이유는 뷰렛은 TD의 유리초자이기 때문이다.TD와 관련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yybook.tistory.com/122 유리 초자 TD, TC 의미유리 초자를 보면 TD나 TC가 적혀 있고 그 옆에 온도가 같이 표기되어있는 경우가 있다. TD는 to deliver의 약자로 해당 유리초자.. 2025. 4. 18. C-18 카트리지(C-18 cartridge) 컨디셔닝 conditioning C-18 카트리지는 그냥 사용하면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카트리지를 conditioning을 해주어 활성시켜주어야 한다. 1차로 비극성 용매인 methanol이나 ACN을 카트리지 위쪽이 채워질 만큼 넣고 주사기를 이용해 천천히 내려준다. 너무 빨리내리면 비극성 용매가 카트리지 내부에 골고루 적셔지지 않으므로 적당히 천천히 내려준다. 그 후 weak solvent라고 해서 극성인 용매를 넣어주는데 보통 증류수를 넣어주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buffer를 사용하기도 한다. 비극성 용매를 내려주는 단계를 2~3회 시행 후 마지막에 증류수를 내려주는 것이 보통이다. 그 후 그냥 공기중에 카트리지를 두면 카트리지 안을 활성화시켜 주는 용매들이 다 건조되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컨디셔닝 후에는 증류수가 .. 2024. 11. 13. 단위 환산-길이 나라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 단위가 있다. 그러나 다른 단위를 사용하면 같은 길이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길이의 등가 관계를 이용해야 한다. ★ 1 m = 100 cm ★ 1 m = 1 yd (야드) ★ 1 in (인치) = 2.54 cm ★ 1 mile (마일) = 1760 yd 위 단위를 알면 쉽게 단위 환산을 할 수 있다. 2024. 11. 12. 유리 초자 TD, TC 의미 유리 초자를 보면 TD나 TC가 적혀 있고 그 옆에 온도가 같이 표기되어있는 경우가 있다. TD는 to deliver의 약자로 해당 유리초자를 이용해 액체를 옮긴 부피가유리초자에 그려진 눈금에 해당하는 부피와 같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서 TD가 쓰여있는 뷰렛 25 mL짜리를 이용해 25 mL의 증류수를 비커에 옮긴다면,비커에 옮겨진 증류수가 25 mL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TC는 to contain의 약자로, 해당 유리초자를 이용해 액체를 담고 있을때의 부피가유리초자에 그려진 눈금에 해당하는 부피가 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서 TC가 쓰여있는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증류수를 표선까지 담았다면,이때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담겨있는 증류수의 부피는 100 mL가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 2024. 11. 11.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뷰렛 결과 계산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뷰렛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1회2회3회처음 눈금25.00 21.0018.00마지막 눈금21.0018.0015.00옮긴 부피 (mL)3.003.003.00액체의 무게 (g)2.9942.9932.988액체의 밀도 (g/mL)0.9980.9980.996*처음 눈금 : 뷰렛의 처음 눈금*마지막 눈금 : 3.00 mL의 액체를 옮긴 후 뷰렛의 눈금 액체의 밀도는 밀도의 정의 (밀도 = 질량/부피)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회 : 2.994 / 3.00 = 0.998 g/mL2회 : 2.993 / 3.00 = 0.99766 = 0.0998 g/mL3회 : 2.988 / 3.00 = 0.996 g/mL ▶액체의 평균 밀도 = (0.998 + 0.998 + 0.996) / 3 = 0.997.. 2024. 11. 10.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눈금실린더 계산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의 이동 1회 취한 액체의 부피 : 3.00 mL 1회2회3회처음 무게 (g)52.39652.68452.860나중 무게 (g)55.37355.69455.868액체의 무게 (g)2.9773.0103.008*처음 무게 : 비어있는 눈금실린더의 무게*나중 무게 : 눈금실린더와 액체의 무게 ▶평균 무게 : (2.977 + 3.010 + 3.008) / 3 = 2.998 g 불확정도는 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으므로 무게의 불확정도는 다음과 같다. ▶무게의 불확정도를 포함한 표현 : 2.998 ± 0.0185 g 이때 실온이 25도라면, 부록에 있는 물의 밀도값에 따라서 물의 밀도는 0.99705 g/mL이다.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는 앞서 얻은 평균 무게에.. 2024. 11. 9.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피펫 결과 계산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 피펫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피펫을 이용해 2.00 mL의 증류수의 무게를 여러 번 측정하게 된다. 이때, 오차를 줄이기 위해 피펫에 증류수를 한번 채워주었다가 버려주는 작업을 미리 한다. 또한, 고무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고무필러에 증류수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1회2회3회처음 무게 (g)52.38852.85052.900나중 무게 (g)54.41854.88154.934액체의 무게 (g)2.0302.0312.034 *처음 무게는 액체의 무게를 재기 위한 유리 초자의 무게 *나중 무게는 유리초자와 액체의 무게 ▶평균 무게 : (2.030 + 2.031 + 2.034) / 3 = 2.032 g 위와 같이 불확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무게의 불확정도는 다음과 같다. ▶무게의 .. 2024. 11. 8. 1L = 1dm^3, 1000L = 1m^3 -> 1mL = 1cm^3 부피의 SI 단위는 길이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1L의 정의를 한 변의 길이가 1dm인 정육면체의 부피로 하므로, 1L = (1 dm)^3 = 1dm^3 또한, 1 m = 10 dm이므로 (10dm)^3 = 1000dm^3 = 1000L 이때, 1dm = 10cm이므로 (*dm 데시미터) 1L = 1dm^3 = (10cm)^3 = 1000cm^3 = 1000mL 1mL = 1cm^3 파란색으로 칠한 관계를 잘 이해해야 한다. 2024. 11. 7.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저울의 정밀도? 실험 A. 무게 측정에 작성되는 저울의 정보는 어디에 있을까? 저울의 정보는 저울의 옆면이나 뒷면에 적혀있는 경우가 많다. 저울의 정보 속에서 실험 결과에 작성할 '제조회사'와 '모델명'은 보통 확인이 쉽다. 그렇다면, '최대 측정 용량'과 '정밀도'는 어떤 값을 적어야 할까? 최대 측정 용량은 저울 정보 속에 MAX 000 g이라고 적혀있는 값을 적으면 된다. 가끔 어떤 저울은 저울의 윗면 또는 앞면에 최대 측정 용량이 적혀있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정밀도는 저울의 정보가 적혀있는 부분에서 e=000 g이라고 적혀있는 e값을 적으면 된다. 참고로 d값은 저울의 불확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만약 e=0.01 g이고 d=0.001 g이라고 적혀있다면, 이 저울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는 정확한 값을 .. 2023. 3. 25. x M의 용액 만들 때 용질의 양 g 계산하기 일정한 부피의 용매 속에 넣어주어야 하는 용질의 양을 알아야 내가 원하는 몰농도를 갖는 용액을 만들 수 있게 된다. x M의 용액 1 L를 만들어야 할 때 용질의 양 z g 그러면 용액의 부피가 1 L가 아닌 용액은 어떻게 만들까 x M의 용액 500 mL를 만들어야 할 때 용질의 양 a g 2023. 1. 30.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