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공부/일반화학실험13

뷰렛 눈금 읽는 방법 뷰렛은 다른 부피 측정 유리초자와는 다르게 눈금을 읽어야 한다. 메스실린더나 비커는 용액이 담겨있는 바닥을 기준으로 아래부터 눈금을 읽지만, 뷰렛은 용액을 채운 기준선으로부터 거꾸로 눈금을 읽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25 mL짜리 뷰렛에 25 mL까지 용액을 채운 뒤 다른 용기로 위 그림과 같은 곳까지 용액을 내렸다면,내가 옮긴 용액의 부피는 4 mL가 된다. 이렇게 부피를 읽어야 하는 이유는 뷰렛은 TD의 유리초자이기 때문이다.TD와 관련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yybook.tistory.com/122 유리 초자 TD, TC 의미유리 초자를 보면 TD나 TC가 적혀 있고 그 옆에 온도가 같이 표기되어있는 경우가 있다. TD는 to deliver의 약자로 해당 유리초자.. 2025. 4. 18.
유리 초자 TD, TC 의미 유리 초자를 보면 TD나 TC가 적혀 있고 그 옆에 온도가 같이 표기되어있는 경우가 있다. TD는 to deliver의 약자로 해당 유리초자를 이용해 액체를 옮긴 부피가유리초자에 그려진 눈금에 해당하는 부피와 같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서 TD가 쓰여있는 뷰렛 25 mL짜리를 이용해 25 mL의 증류수를 비커에 옮긴다면,비커에 옮겨진 증류수가 25 mL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TC는 to contain의 약자로, 해당 유리초자를 이용해 액체를 담고 있을때의 부피가유리초자에 그려진 눈금에 해당하는 부피가 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서 TC가 쓰여있는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증류수를 표선까지 담았다면,이때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담겨있는 증류수의 부피는 100 mL가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 2024. 11. 11.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뷰렛 결과 계산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뷰렛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1회2회3회처음 눈금25.00 21.0018.00마지막 눈금21.0018.0015.00옮긴 부피 (mL)3.003.003.00액체의 무게 (g)2.9942.9932.988액체의 밀도 (g/mL)0.9980.9980.996*처음 눈금 : 뷰렛의 처음 눈금*마지막 눈금 : 3.00 mL의 액체를 옮긴 후 뷰렛의 눈금 액체의 밀도는 밀도의 정의 (밀도 = 질량/부피)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회 : 2.994 / 3.00 = 0.998 g/mL2회 : 2.993 / 3.00 = 0.99766 = 0.0998 g/mL3회 : 2.988 / 3.00 =  0.996 g/mL ▶액체의 평균 밀도 = (0.998 + 0.998 + 0.996) / 3 = 0.997.. 2024. 11. 10.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눈금실린더 계산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의 이동 1회 취한 액체의 부피 : 3.00 mL 1회2회3회처음 무게 (g)52.39652.68452.860나중 무게 (g)55.37355.69455.868액체의 무게 (g)2.9773.0103.008*처음 무게 : 비어있는 눈금실린더의 무게*나중 무게 : 눈금실린더와 액체의 무게 ▶평균 무게 : (2.977 + 3.010 + 3.008) / 3 = 2.998 g  불확정도는 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으므로 무게의 불확정도는 다음과 같다.  ▶무게의 불확정도를 포함한 표현 : 2.998 ± 0.0185 g 이때 실온이 25도라면, 부록에 있는 물의 밀도값에 따라서 물의 밀도는 0.99705 g/mL이다.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는 앞서 얻은 평균 무게에.. 2024. 11. 9.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피펫 결과 계산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 피펫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피펫을 이용해 2.00 mL의 증류수의 무게를 여러 번 측정하게 된다. 이때, 오차를 줄이기 위해 피펫에 증류수를 한번 채워주었다가 버려주는 작업을 미리 한다. 또한, 고무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고무필러에 증류수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1회2회3회처음 무게 (g)52.38852.85052.900나중 무게 (g)54.41854.88154.934액체의 무게 (g)2.0302.0312.034 *처음 무게는 액체의 무게를 재기 위한 유리 초자의 무게 *나중 무게는 유리초자와 액체의 무게 ▶평균 무게 : (2.030 + 2.031 + 2.034) / 3 = 2.032 g 위와 같이 불확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무게의 불확정도는 다음과 같다. ▶무게의 .. 2024. 11. 8.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저울의 정밀도? 실험 A. 무게 측정에 작성되는 저울의 정보는 어디에 있을까? 저울의 정보는 저울의 옆면이나 뒷면에 적혀있는 경우가 많다. 저울의 정보 속에서 실험 결과에 작성할 '제조회사'와 '모델명'은 보통 확인이 쉽다. 그렇다면, '최대 측정 용량'과 '정밀도'는 어떤 값을 적어야 할까? 최대 측정 용량은 저울 정보 속에 MAX 000 g이라고 적혀있는 값을 적으면 된다. 가끔 어떤 저울은 저울의 윗면 또는 앞면에 최대 측정 용량이 적혀있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정밀도는 저울의 정보가 적혀있는 부분에서 e=000 g이라고 적혀있는 e값을 적으면 된다. 참고로 d값은 저울의 불확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만약 e=0.01 g이고 d=0.001 g이라고 적혀있다면, 이 저울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는 정확한 값을 .. 2023. 3. 25.
재결정-실험 B 벤조산의 분리와 재결정 재결정 실험 과정 분석 실험 B. 벤조산의 분리와 재결정 1. '실험 A에서 얻은 거른 용액'은 뷰흐너 깔때기를 통해서 아래에 가지 달린 삼각플라스크로 걸러져 내려온 용액을 말한다. 이 용액은 현재 염기성의 상태이므로 산을 넣어주어서 산성의 상태로 만들어주어야 안에 벤조산 소듐으로 용액에 녹아있던 벤조산이 벤조산의 형태로 밖으로 석출 되어 우리가 얻을 수 있게 된다. → 실험 A에서 2g의 혼합물에는 1 g의 벤조산이 있다고 가정한 후 3 M의 NaOH로 중화시켰었다. → 또한, 1 g의 벤조산의 몰수는 0.008 mol이므로 (참고: https://yybook.tistory.com/107) 0.008 mol에 해당하는 벤조산 소듐이 1:1의 반응을 통해서 HCl과 반응하게 될 것이다. → 그러나 실험 .. 2022. 12. 26.
재결정-실험 A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분리와 재결정 재결정 실험 과정 분석 실험 A.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분리와 재결정 1.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가 혼합된 시료 약 2g이 등장하는데, 이 시료의 경우 보통 조교 선생님이 준비를 하게 된다. 고체 혼합물의 경우 충분히 섞어주지 않으면 균일한 혼합물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실험을 준비하는 조교 선생님은 2가지 물질을 1:1의 질량비로 섞었다고 하더라도 내가 취하는 곳에 따라서 벤조산의 양이 더 많거나 아세트아닐라이드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을 준비하는 조교 선생님이 충분히 두 가지 물질을 섞어주었다고 가정한 후 실험을 진행한다. → 실험 방법 1번의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가 혼합된 시료 약 2g'에는 벤조산이 1g, 아세트아닐라이드가 1g이 존재한다고 가정한 후 다음 실험으로 진행하도록.. 2022. 12. 24.
표준 일반화학실험(천문각) 7판 vs. 8판 차이점 2022년 새로 출간된 개정판 표준 일반화학실험 8판과 이전까지 꽤 오랜 기간 개정되지 않았던 7판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한 번 살펴보았다. 일단 천문각에서 발행하는 표준 일반화학실험은 대한화학회에서 편찬하는 실험서다. 7판이 2011년에 초판을 찍었기에 11년 만에 새로운 개정판이 나온 거라고 볼 수 있다. 일단 대충 책을 훝어보았을때 표지 디자인은 바뀌기는 하였으나, 내부의 내용은 7판과 동일한 양식과 디자인을 하고 있다. 또한, 머리말을 보면 화학식량 결정 (실험 11)과 분자 시뮬레이션 (실험 14)가 새롭게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오래된 교재에서 사용하던 명확하지 않았던 사진들이 일부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머리말에서는 '현대 화학과 연관성이 줄어든 내용, 적절하지 못한.. 2022. 12. 14.
액체의 부피 측정 시 눈금 보는 방법 메니스커스 meniscus 화학실험을 하기 위해서 액체 시료의 부피를 정확히 측정해야 실험을 통해 얻는 결과도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액체 시료의 경우 액체와 유리 초자와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서 유리표면에 들러붙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액체의 어느 표면에서 눈금을 읽어야할지 고민이 될 수 있다. 이때 우리가 알아봐야 하는 것은 메니스커스(meniscus)다. 메니스커스는 앞서 말했듯이 액체와 유리 초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발생하는 표면 장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위 그림과 같이 액체와 유리초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액체를 이루는 분자끼리의 상호작용보다 큰 경우, 아래로 볼록한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의 부피를 측정할 시 아래로 볼록한 곳의 눈금을 읽으면 된다. 보통 물과 같은 액체들이 이러한 현.. 2022. 10. 14.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