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몰농도4 15 wt% KOH 수용액 250 g 희석하여 0.1 M 수용액 만든 후 용액의 부피 ♠ 15 wt% KOH 수용액 250 g을 희석하여 0.1 M 수용액을 만들고자 할 때, 희석 후 용액의 부피(L)는?(단, KOH의 분자량은 56 g/mol 이다) ♤풀이 wt% = (용질의 질량 / 용액의 질량) x 100% 이므로15 wt% KOH는 15 g의 KOH가 100 g의 물에 녹아있음을 뜻한다. wt% 농도를 먼저 M 농도로 바꾸어주기 위해서 15 g KOH의 몰수를 구한다.KOH의 분자량은 문제에서 주었으므로, 15 g KOH / 56 g/mol = 0.27 mol 0.27 mol의 KOH가 100 g의 물에 녹아있는 것이고, 물의 밀도는 1 g/mL이므로0.27 mol의 KOH가 100 mL = 0.1 L의 물에 녹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0.27 mol / 0.1 L = 2.7 M .. 2024. 11. 15. x M의 용액 만들 때 용질의 양 g 계산하기 일정한 부피의 용매 속에 넣어주어야 하는 용질의 양을 알아야 내가 원하는 몰농도를 갖는 용액을 만들 수 있게 된다. x M의 용액 1 L를 만들어야 할 때 용질의 양 z g 그러면 용액의 부피가 1 L가 아닌 용액은 어떻게 만들까 x M의 용액 500 mL를 만들어야 할 때 용질의 양 a g 2023. 1. 30. 몰농도, molarity, molar concentration 계산하기 몰농도는 단위 부피의 용액 속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를 말한다. 용액은 용질과 용매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용질은 용매 안에 녹아있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몰농도는 다음과 같다. 위 식에 의해서 몰농도의 단위는 mol/L가 된다. 2023. 1. 29. 0.195 M H2SO4 용액 15.5 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18.0 M H2SO4 용액의 부피(mL) 2. 0.195 M H2SO4 용액 15.5 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18.0 M H2SO4 용액의 부피(mL)는? 답: ③ 168 몰농도의 정의를 이용하여 문제를 푼다.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mol)를 용액의 부피(L)로 나눈 것을 말한다. 18 M H2SO4 용액을 희석해서 0.195 M H2SO4 용액 15.5 L를 만드는 것이므로, MV = M'V' 공식을 이용한다. 0.195 M X 15.5 L = 18.0 M X x L 를 풀면 답은 0.168 L = 168 mL가 나온다. 2022. 9. 21. 이전 1 다음 728x90 728x90